default_top_notch
default_setNet1_2

코로나19 에도 의약품 무역수지 사상 첫 흑자 달성

기사승인 2021.08.02  10:48:19

공유
default_news_ad1

- 완제의약품·바이오의약품 약진으로 의약품 수출액 62.5% 증가

식품의약품안전처(처장 김강립)는 2020년 의약품·의약외품의 생산·수출·수입실적을 분석한 결과를 발표했다.

의약품은 식약처가 통계를 집계한 1998년 이후 최초로 무역수지 흑자(1조 3,940억원)를 달성했다. 이는 전체 수출액(9조9,648억원)의 79.6%를 차지한 완제의약품의 수출이 2019년 대비 92.3% 증가(7조 9,308억원)한 것이 주된 원인으로 분석됐다.

의약외품은 코로나19 방역물품 생산 증가로 생산실적(3조 7,149억원)이 2019년 대비 두 배가 넘는 124% 증가했다. 이는 마스크, 외용소독제의 생산실적이 2019년 대비 각각 818%, 926%씩 큰 폭으로 증가하는 등 감염병 예방 물품 수요가 늘어난 영향이 큰 것으로 분석됐다.

■의약품 분야

2020년 의약품 생산실적은 24조 5,655억원으로 전년 대비 10.1% 증가했고 수출실적은 9조 9,648억원(84억 4,470만 달러)으로 전년 대비 62.5%, 수입실적은 8조 5,708억원(72억 6,331만 달러)으로 전년 대비 5.2% 증가했다.

의약품 생산실적은 국내 총생산(GDP) 대비 1.2%, 국내 제조업 총생산 대비 5.1% 수준이었다.

다만 의약품 생산실적의 최근 5년간 연평균 성장률은 6.9%로 국내 제조업 총생산(1.1%)보다 6배 이상 높아 의약품 산업이 우리나라 미래 먹거리 산업으로서의 가능성을 보여주고 있는 것으로 평가된다.

2020년 의약품 생산실적 1조 원 이상 업체는 2개소로, 1위는 전년 대비 149.2% 증가한 1조 4,769억원으로 ㈜셀트리온이 차지했고 뒤를 이어 한미약품㈜이 2019년(1조 139억원)과 유사한 1조 143억원으로 2위를 차지했다.

2020년 의약품 시장규모는 23조 1,715억원으로 전년 대비 4.7% 감소했으나, 지난 5년간 의약품 시장규모*는 1.6%의 연평균 성장률을 보였다. 이는 생산실적과 수입실적의 상승률(각각 10.1%, 5.2%)보다 수출실적이 62.5%로 크게 상승했기 때문으로 분석됐다.

2020년 의약품 무역수지는 큰 폭의 의약품 수출실적 상승에 힘입어 1조 3,940억원을 기록해 식약처가 의약품 생산·수출·수입 등 실적 통계를 집계한 1998년 이후 처음으로 흑자로 전환됐다.

2020년 국내 의약품 시장의 주요 특징은 ▲무역수지 흑자 전환을 주도한 완제의약품의 수출실적 92.3% 증가 ▲바이오의약품 생산·수출 실적 강세 속 바이오시밀러 수출 활발 ▲전문의약품 생산 비중 유지, 국산 신약 생산 꾸준한 증가세 등이다.

무역수지 흑자 전환을 주도한 완제의약품 수출실적 92.3% 증가

2020년 전체 의약품 수출액(9조 9,648억원) 중 79.6%(7조 9,308억원)를 차지한 완제의약품의 경우 수출액이 2019년 대비 92.3% 증가했으며, 의약품 전체 수출액의 증가폭인 62.5%보다 크게 웃돌아 무역수지 흑자 전환을 주도한 것으로 나타났다. 완제의약품 생산실적은 ’19년 대비 5.9% 증가한 21조 229억원으로 의약품 전체 생산실적 24조 5,655억원 중 85.6%를 차지했다.

완제의약품 중 수출액 규모 상위 3개 제품은 모두 바이오의약품으로 국내 의약품 전체 수출에서 바이오의약품이 차지하는 비중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완제의약품 중 수출액 1위는 ‘램시마주100mg’ 5,435억원(4억 6천만 달러)였고, ‘허쥬마주150mg’ 986억원(8천만 달러), ‘트룩시마주’ 753억원(6천만 달러) 등이 그 뒤를 이었다.

우리나라가 완제의약품을 가장 많이 수출하는 국가는 독일(18억 5,596만 달러), 미국(7억 8,061만 달러), 터키(5억 8,955만 달러) 순이었고, 가장 많이 수입하는 국가는 미국(9억 7,761만 달러), 독일(8억 9,665만 달러), 중국(8억 8,774만 달러) 순으로 미국, 독일이 최대 교역국으로 확인되었다. 이밖에 2019년 대비 수출액 증가 폭이 큰 나라는 인도(800.8%, 2억 6,332만 달러), 이탈리아(411.2%, 6,527만 달러), 인도네시아(404.9%, 7,125만 달러), 벨기에(271.2%, 2억 8,000만 달러) 등이었다.

바이오의약품 생산·수출 실적 강세 속 바이오시밀러 수출 활발

2020년 바이오의약품 생산실적은 3조 9,300억원으로 전년 대비 54.9% 증가했고, 의약품 전체 생산실적 상승률(10.1%)보다 크게 늘어 의약품 분야 중 가장 활발하게 성장하고 있었다.

수출실적은 약 2조 3,825억원(20억 1,907만 달러)으로 2019년 대비 57.3% 증가했고, 수입실적은 14억 8,766만 달러(약 1조 7,555억원)로 2019년 대비 11.3% 증가했다.

2020년 바이오의약품 시장규모는 3조 3,029억원으로 전년 대비 27% 증가했고,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는 유전자재조합의약품 시장규모는 1조 3,596억원으로 2019년 대비 20.1% 증가했다.

유전자재조합의약품에 이어 바이오의약품 중 시장규모 2위 백신(9,009억원)은 2019년 대비 45.4%의 높은 증가율을 보였는데, 이는 2020년 코로나19 상황에서 독감 등 다른 질병 예방을 위한 백신 접종의 중요성이 강조된 데 따른 것으로 판단된다.

2020년 의약품 전체 수출실적 상위 20위 품목 중 바이오의약품은 12개였고, 12개 중 8개 품목이 바이오시밀러 제품으로 79.7%(16억 965만 달러)를 차지하는 등 수출 증가세를 견인했다.

바이오의약품 수출은 유럽과 북미 지역에서 큰 폭으로 증가했는데, 2019년 하반기에 유럽과 미국에서 신규 품목허가 승인을 받거나 처방목록에 등재된 영향이 있는 것으로 분석된다.

전문의약품 생산 비중 유지, 국산 신약 생산 꾸준한 증가세

전문의약품 생산실적(17조 8,450억원)은 완제의약품 중 84.9%를 차지해 최근 5년간 유지되어 온 83~84% 수준으로, 우리나라는 전문의약품 중심임을 알 수 있었다.

또한 국산 신약 중 100억원 규모 이상 생산한 품목이 6개*이고 국산 신약 19개 품목의 생산액이 3,221억원으로 2019년 대비 38.2% 증가했다.

■의약외품 분야

2020년 의약외품 생산실적은 코로나19 방역물품 생산 증가에 따라 2019년(1조 6,574억원) 대비 124% 증가한 3조 7,149억원으로 최근 3년 기간에 가장 높은 성장을 보였고, 2020년 의약외품 무역수지는 2,140억원의 흑자를 기록했다.

생산업체 수와 생산 품목 수도 큰 폭으로 증가해 생산업체는 1,239개소(전년(382개소) 대비 224%↑), 생산 품목은 5,287개(전년(2,881개) 대비 83.5%↑)로 집계됐다.

2020년 우리나라 의약외품 시장의 주요 특징은 ▲마스크와 외용소독제 생산실적 큰 폭 증가 ▲수출실적 중 마스크 비중 74.5% 차지 ▲상위 5위 품목군 순위 변화 등이다.

마스크와 외용소독제 생산실적 큰 폭 증가

2020년 마스크 생산실적은 2조 483억원으로 전년(2,231억원) 대비 818%, 외용소독제 생산실적은 3,890억원으로 전년(379억원) 대비 926% 증가해 매우 큰 폭으로 증가했다. 이는 지난해 감염병 예방 물품의 수요가 급증함에 따라 생산도 큰 폭으로 증가했기 때문이다.

의약외품 수출실적 중 마스크 비중 74.5% 차지

마스크 수출실적은 3,399억원(2억 8,803만 달러)으로 2020년 전체 의약외품 수출실적 4,561억원(3억 8,650만 달러) 중 74.5%를 차지했다. 이는 지난해 코로나19 유행에 따른 ‘마스크 긴급수급조정조치’로 마스크 수출이 전면 또는 일부 제한됐다가 10월 23일 이후 수출제한이 모두 해제됐음에도 높은 수출실적을 기록한 것이어서 주목할 만한 부분이다.

상위 5개 품목군 순위 변화

지난해 생산실적 상위 5개 품목군은 ▲마스크(2조 483억원, 55.1%) ▲외용소독제(3,890억원, 10.5%) ▲치약제(3,676억원, 9.9%) ▲자양강장변질제(2,592억원, 7.0%) ▲생리용품(2,529억원, 6.8%) 순으로 2019년 생산실적 1, 2위였던 치약제와 자양강장변질제를 제치고 2020년에는 마스크와 외용소독제가 1, 2위를 차지했다.

업체별 생산실적을 보면 ‘동아제약’(2,912억원)이 2년 연속 1위를 차지했고 ‘엘지생활건강’(1,635억원), ’유한킴벌리’(1,599억원), ‘아모레퍼시픽’(1,040억원)이 뒤를 이었으며, 마스크 업체로는 처음으로 ‘이앤더블유’(780억원)가 상위 5위에 진입했다.

품목별 생산실적을 보면 ‘박카스디액’(1,260억원)이 2019년에 이어 1위를 차지했고 ‘박카스 에프액’(1,014억원), ‘뉴네퓨어 황사방역용 마스크[KF94](406억원)’가 뒤를 이어, 처음으로 마스크가 의약외품 품목별 생산실적 상위 3위 안에 진입했다.

식약처는 이번 2020년 의약품 생산·수출·수입실적 자료가 의약품 산업 현황을 분석하기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되고, 업계의 제품 개발·연구와 정부 정책 수립 등 의약품 산업 발전에 널리 활용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혔다.

김사랑 기자 kimsarang0420

<저작권자 © 팜스탁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
default_news_ad4
default_side_ad1

인기기사

default_side_ad2

포토

1 2 3
set_P1
default_side_ad3

섹션별 인기기사 및 최근기사

default_setNet2
default_bottom
#top
default_bottom_notch